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IRP는 절세만을 위한 통장이 아닙니다. 전략적으로 운용하면 수익률까지 챙길 수 있는 ‘진짜 노후 계좌’입니다.”

    IRP(개인형 퇴직연금)는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위해 가입하는 분들이 많지만, 정작 어떻게 굴려야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히 ‘넣고 묻어두는’ 방식이 아니라, ETF와 채권, 리츠 등을 조합해 체계적으로 자산 배분해야 IRP 수익률이 올라갑니다.

    1. IRP 수익률, 실제 평균은 얼마일까?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3년 IRP 평균 수익률은 약 4.03%였습니다. 하지만 ETF 중심으로 적극 운용한 사람들은 6~10% 이상도 가능했습니다.

    • 은행권 IRP: 1.8% 수준 (예금·채권 위주)
    • 증권사형 IRP: 4~6% (ETF·혼합형 비중 높음)
    • 적극 운용 사례: 2023년 9.3% 기록 (ETF 중심)

    👉 결론: 어떤 금융사에서, 어떤 자산으로 운용하느냐에 따라 IRP 수익률은 극명하게 차이가 납니다.

    2. IRP 수익률을 높이는 3대 전략

    ① ETF를 활용한 장기 분산 투자

    IRP는 장기 계좌입니다. 단기 수익률에 연연하지 말고, 저비용 인덱스 ETF에 매월 정기 투자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 KODEX 200, TIGER S&P500 등 대표 인덱스 ETF 추천
    • ✔ 성장주 비중을 높이고 싶다면 TIGER 나스닥 100, KODEX 2차 전지

    ② 채권·MMF·리츠로 수익 안정성 보완

    IRP는 위험자산(예: 주식형 ETF)을 70%까지만 편입 가능하므로, 나머지 30%는 안정적인 자산으로 채워야 합니다.

    • ✔ 채권형 펀드: KOSEF 국고채 10년, ARIRANG 단기채권
    • ✔ MMF: 안정성과 유동성 모두 확보
    • ✔ 리츠: 월배당 수익을 노리는 전략 (예: TIGER 미국 MSCI리츠)

    ③ 자동 리밸런싱 기능 활용

    증권사 IRP는 일정 비율로 자산을 재조정하는 ‘자동 리밸런싱’ 기능을 제공합니다. 비중이 무너지지 않게 자동 조정하여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 팁: 분기 1회 또는 반기 1회 자동 리밸런싱으로 유지 관리하세요.

    3. 실전 포트폴리오 예시

    자산 유형 종목 예시 비중(예시)
    국내 ETF KODEX 200, KODEX 반도체 30%
    해외 ETF TIGER S&P500, KINDEX 미국나스닥100 30%
    채권형 ETF KOSEF 국고채10년 25%
    리츠/기타 TIGER 리츠, MMF 15%

    ※ 위험자산 비중은 전체의 60~70% 이하로 설정해야 합니다. IRP 규정 상 초과 불가

     

     

    📌 다음 글 보기: 2편 – IRP 수익률 높이는 전략

    📎 이전 글 보기: 1편 – 연금저축 vs IRP 총정리

     

    4. 수익률을 해치는 3가지 실수

    • 🚫 예금형 IRP만 고수 → 실질 수익률 거의 없음
    • 🚫 시장 타이밍 맞추려다 손실 → 꾸준한 적립식이 더 유리
    • 🚫 리밸런싱 미실시 → ETF 가격 하락 시 전체 자산 손상

    ✔ 실전 원칙: “ETF 중심 + 분산 투자 + 자동 리밸런싱”이 IRP 수익률의 기본입니다.

    5. 실제 사용자 후기 – 나의 3년 IRP

    저는 2021년부터 증권사 IRP에 매월 50만 원씩 납입하고 있습니다. 처음엔 예금 위주로 구성했으나 수익률이 너무 낮아, 2022년부터 ETF(국내/해외)를 활용한 전략으로 변경했죠.

    2023년 말 기준 누적 수익률은 약 7.8%, IRP 계좌 자산은 1,800만 원을 돌파했습니다. 특히 TIGER S&P500 ETF와 KODEX 2차 전지 ETF가 수익을 견인했고, MMF와 리츠로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6. 마무리 – IRP는 투자계좌다

    IRP는 단순히 세액공제만을 노리고 가입하는 것이 아니라, 노후를 위한 중장기 투자 계좌로서의 역할이 더욱 큽니다. ETF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채권과 리츠로 안정성을 확보하면 IRP 수익률을 6~8%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 오늘 바로 IRP 자산 구성을 점검해 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 (Q&A)

    Q1. IRP에서 ETF를 100% 투자할 수 있나요?
    A. 아니요. IRP는 위험자산(ETF 등) 최대 70%까지만 가능합니다.
    Q2. 어떤 ETF가 IRP에서 인기가 높나요?
    A. KODEX 200, TIGER 나스닥100, TIGER 리츠, KOSEF 국고채10년 등이 대표적입니다.
    Q3. IRP 자동 리밸런싱은 꼭 해야 하나요?
    A. 시장 변동성 대응과 포트폴리오 유지에 필수입니다. 반기 1회 정도가 적당합니다.
    Q4. IRP는 증권사 어디가 좋나요?
    A. 키움증권, 미래에셋, 삼성증권 등은 ETF 운용 폭이 넓고 수수료도 낮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