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3월의 월급, 당신도 받을 수 있습니다.” IRP와 연금저축을 활용하면 단순한 금융상품이 아니라, 강력한 절세 도구로 전환됩니다.

    매년 연말이 다가오면 ‘연말정산’이라는 단어에 긴장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미리 준비하면 100만 원 이상 세금 환급도 가능한 기회입니다. 그 핵심 도구가 바로 IRP(개인형 퇴직연금)과 연금저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말정산에서 IRP·연금저축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해 드립니다.

    1. IRP·연금저축 세액공제 구조 이해하기

    두 상품 모두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 총 급여에 따라 세액공제(13.2~16.5%)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공제 한도 세액공제율
    연금저축 최대 400만 원 13.2% 또는 16.5%
    IRP 연금저축 포함 700만 원까지 (IRP 단독 시 700만 원) 13.2% 또는 16.5%

    예시: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직장인이 연금저축 400만 원 + IRP 300만 원 납입 시 ➜ 세액공제 약 115만 원

    2. IRP vs 연금저축 – 어떤 걸 먼저 활용할까?

    둘 다 비슷한 세제혜택을 제공하지만,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나누어 전략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 📌 공격적 투자자: 연금저축 + ETF 100% 구성 가능 (증권사형)
    • 📌 보수적 투자자: IRP + 채권형 or 예금 비중 조절
    • 📌 최대 절세 전략: 두 상품을 함께 납입

    3. 연말정산 전 알아두면 좋은 팁 5가지

    1. 11월~12월 이전에 납입 완료 – 세액공제는 해당 연도 납입액 기준
    2. 모바일 앱에서 자동납입 설정 – 매년 번거로움 없이 실적 관리 가능
    3. 연금저축·IRP 모두 세무서 신고 불필요 – 금융기관에서 국세청 자동 제출
    4. 지급명세서 미제출 체크 – IRP 신규 가입자는 연말정산 소득공제 명세서 제출 누락 주의
    5. 총급여 5,500만 원 기준 확인 – 세액공제율이 13.2% ↔ 16.5%로 갈림

     

    4편- IRP 개설 전 체크리스트, 이곳에서 보세요.

     

    5편- 연금저축 해지하면 손해일까? 이곳 보세요.

     

    4. 실전 예시 – 나의 2024 연말정산 전략

    저는 매년 11월 IRP에 300만 원을 일시 납입하고, 연금저축은 매월 33만 원씩 적립해 총 400만 원을 채우고 있습니다.

    ➜ 환급금 내역: 총 세액공제 115만 원 ➜ 상품 구성: TIGER S&P500 ETF, KOSEF 국고채 10년, TIGER 리츠 등 혼합

    매년 안정적인 환급과 장기 복리 수익을 동시에 누릴 수 있어 만족도가 매우 높습니다.

    5. IRP·연금저축 납입 증빙 방법

    •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 연금저축/IRP 항목 확인
    • 각 증권사 앱: ‘연말정산 납입 증명서’ 자동 발급 기능 활용
    • 오프라인 제출 불필요: 자동 연동되므로 누락 시만 제출

    6. 결론 – 연말정산은 전략으로 만드는 수익이다

    연말정산은 연봉이 아닌 전략이 만드는 수익입니다. IRP와 연금저축은 그 어떤 금융상품보다 **확실한 절세 효과와 복리 수익**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 지금 바로 연말 전에 납입 스케줄을 확인하고, 환급 목표를 세워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 (Q&A)

    Q1. IRP·연금저축 중 하나만 가입해도 되나요?
    A. 네, 가능하지만 두 상품을 합쳐야 최대 700만 원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Q2. 소득이 없어도 세액공제 받을 수 있나요?
    A. 아니요. 세액공제는 소득세를 내는 사람에게만 적용됩니다.
    Q3. IRP 수익이 마이너스여도 세액공제는 받나요?
    A. 수익 여부와 관계없이, 납입액 기준으로 세액공제가 적용됩니다.
    Q4. 연금저축 ETF는 직접 고를 수 있나요?
    A. 증권사형 연금저축 계좌라면 ETF를 직접 매수하여 운용 가능합니다.

    📚 연금저축 · IRP 절세 시리즈 전체 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