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팀마다 쓰는 툴이 달라서, 프로젝트가 늘 복잡하게 얽히고 있진 않나요?” 많은 팀이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려다 오히려 툴 선택에서 막힙니다. 오늘은 가장 많이 비교되는 두 툴, ClickUp과 Asana를 실무 관점에서 분석하고, 어떤 팀에게 어떤 툴이 더 적합한지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① ClickUp과 Asana의 핵심 차이 한눈에 보기

    두 툴은 모두 “프로젝트 관리”를 중심으로 하지만, 철학이 다릅니다. Asana는 ‘단순하고 직관적인 팀 일정 관리’, ClickUp은 ‘모든 워크플로우를 한 툴에 통합’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비교 항목 ClickUp Asana
    핵심 개념 올인원(All-in-one) 워크 플랫폼 프로젝트·업무 흐름 중심 툴
    기능 범위 프로젝트 + 문서 + 목표 + 자동화 + 대시보드 프로젝트 + 일정 + 협업 + 간트차트
    인터페이스 세밀하지만 다소 복잡 단순하고 직관적, 학습곡선 낮음
    자동화 기능 Zapier 연동 + 내부 자동화 조건 다양 기본 자동화 존재, 조건식 제한적
    가격 정책 무료 플랜 제공 / 유료 $7~ 무료 플랜 제공 / 유료 $10.99~
    권한 관리 세부 설정 가능 (개별 태스크 단위) 프로젝트 단위 중심
    추천 팀 스타트업, IT개발, 마케팅 자동화 팀 일정·캠페인 중심의 기획·운영팀
    💡 한 줄 요약: ClickUp은 시스템화에 강하고, Asana는 직관성과 팀 협업에 강하다.

    ② 실무 기준으로 본 선택 가이드

    툴 비교는 단순한 기능보다 “어떤 팀에서, 어떤 흐름으로” 쓰이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아래는 실제 업무 유형별 추천 방향입니다.

    • IT 스타트업: ClickUp → 버전관리, 백로그, QA 태스크 트래킹 용이
    • 마케팅 팀: Asana → 캠페인 일정, 콘텐츠 승인 프로세스 단순함
    • 디자인 팀: ClickUp → Figma·Slack 연동, 파일 미리보기 지원
    • 기획/운영팀: Asana → 캘린더 중심 협업, 마감일 관리 효율적
    🔎 “도구보다 프로세스가 중요하지만,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도구를 선택해야 합니다.”

    즉, 복잡한 프로젝트를 구조화하고 자동화하려면 ClickUp이, 명확한 일정 기반 팀 협업에는 Asana가 더 효율적입니다.


    ③ ClickUp 온보딩 가이드 (팀 기준)

    ClickUp은 세부 설정이 많지만, 구조를 한 번 잡아두면 이후 자동화가 강력합니다.

    1. Space 생성: 부서별(예: 마케팅, 개발) Space로 나누기
    2. List 추가: 프로젝트 단위로 List 생성 (예: 캠페인A, 제품개발B)
    3. Task 템플릿: ‘To Do / Doing / Review / Done’ 상태 정의
    4. 자동화 설정: 상태 변경 시 담당자 변경, Slack 알림 전송
    5. Dashboard 구성: 진행률·담당자별 현황 위젯으로 시각화

    ClickUp의 가장 강력한 점은 “Docs + Tasks + Dashboards”의 통합 구조입니다. 프로젝트와 회의록, 리포트를 한 화면에서 다루기 좋습니다.


    ④ Asana 온보딩 가이드 (팀 기준)

    Asana는 “프로젝트·태스크·담당자”만 명확히 정의하면 누구나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Workspace 생성: 팀 단위로 하나의 Workspace 설정
    2. Project 추가: 일정 중심(캘린더, 보드) 보기 선택
    3. Task 등록: 태스크에 담당자, 마감일, 우선순위 설정
    4. Section 구분: To Do / 진행 중 / 완료 구조로 관리
    5. 알림 설정: 이메일·Slack으로 완료 알림 자동 전송

    Asana는 협업 프로세스가 단순할수록 더 빛을 발합니다. 마케팅·기획·운영 부서가 일정과 마감일을 중심으로 일할 때 이상적입니다.


    ⑤ 운영 체크리스트 (ClickUp·Asana 공통)

    툴을 도입한 후 ‘유지 관리’를 잘해야 생산성이 안정됩니다.

    • ☑ 모든 프로젝트에 담당자·마감일 필수 입력
    • ☑ 반복되는 업무는 템플릿으로 관리
    • ☑ 주간 회의 전, 진행 상태 자동 리포트 확인
    • ☑ 완료된 태스크는 Archive 처리, 불필요한 노이즈 제거
    • ☑ 팀 온보딩 매뉴얼 페이지를 지속 업데이트

    특히 ClickUp에서는 Automations 기능으로 상태 업데이트를 자동화하고, Asana에서는 Rules 기능으로 마감 알림을 관리하면 좋습니다.


    ⑥ 실제 도입 시 추천 시나리오

    팀 유형 추천 툴 활용 예시
    스타트업 (5인 이하) ClickUp 개발·디자인·운영 통합 워크플로우
    마케팅 에이전시 Asana 캠페인 일정 + 승인 프로세스 관리
    IT개발 조직 ClickUp 버그리포트, QA, 문서 자동 연결
    디자인 스튜디오 Asana 프로젝트·클라이언트 일정 관리

    결론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자동화하려면 ClickUp”, “단순하고 빠르게 협업하려면 Asana”가 맞습니다.


    ⑦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두 툴 모두 무료로 충분한가요?
    A1. 개인 또는 3인 이하 팀은 무료로 가능하지만, 자동화·대시보드 기능은 유료 플랜에서만 가능합니다.

    Q2. Notion과 병행해도 되나요?
    A2. 가능합니다. Notion은 문서 관리, ClickUp/Asana는 실행 중심 툴로 분리하면 효율적입니다.

    Q3. ClickUp이 너무 복잡하다는 평가가 있는데?
    A3. 맞습니다. 다만 초기 템플릿 세팅만 잘 하면, 이후 자동화 관리에서 큰 강점을 보입니다.

    Q4. Asana에서 ClickUp으로 이전할 수 있나요?
    A4. ClickUp Import 기능으로 Asana CSV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⑧ 결론: 팀 규모·업무 성격에 맞게 선택하라

    ClickUp과 Asana 중 어느 하나가 “절대적으로 더 낫다”기보다, 팀의 복잡도와 관리 방식에 따라 적합한 도구가 달라집니다.

    • 🚀 스타트업·개발팀 → ClickUp 추천 (자동화·통합 강점)
    • 📅 기획·운영·마케팅팀 → Asana 추천 (직관적 협업 중심)

    중요한 건, 툴을 선택한 뒤 일관된 워크플로우를 정립하는 것입니다. 툴은 시스템을 만드는 도구일 뿐, ‘팀의 규칙’이 생산성을 결정합니다.

     

    🎯 업무 효율을 바꾸는 SaaS 실무 가이드 시리즈, 20편중, 전1편 후3편 추천.

     

    반응형